직장동료 부모상 조의금, 부의금 액수, (조부상 조모상),부의봉투 작성법과 계좌이체 방법

직장동료 부모상 조의금, 부의봉투 작성법과 계좌이체 방법

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직장 동료나 상사의 부모상을 접하는 일이 종종 있습니다. 사회 초년생 시절에는 조의금을 얼마나 내야 할지, 부의봉투를 어떻게 써야 하는지 헷갈리기 마련인데요. 오늘은 부의봉투 작성법, 조의금 적정 금액, 그리고 계좌이체로 조의금을 전달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1. 부의봉투 작성법

장례식장에 방문하기 전에 미리 부의봉투를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준비하지 못한 경우, 대부분의 장례식장에는 부의봉투가 비치되어 있으니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① 부의봉투 앞면

부의봉투의 앞면에는 한자로 부의(賻儀), 근조(謹弔), 조의(弔儀) 등과 같은 단어를 적습니다. 특별한 문구가 없다면 부의(賻儀)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 부의(賻儀): 상가에 부조로 보내는 돈을 의미
  • 근조(謹弔): 고인의 죽음을 삼가 슬퍼함
  • 조의(弔儀): 고인의 죽음을 슬퍼함

장례식장에서 제공되는 봉투 대부분은 앞면에 부의가 인쇄되어 있으니 특별히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

② 부의봉투 뒷면

부의봉투의 뒷면에는 조의금을 내는 사람의 이름소속을 적습니다. 이름을 세로로 기재하며, 동명이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소속 회사나 단체명을 함께 적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회사나 단체에서 대표로 내는 경우, 단체명만 적어도 괜찮습니다.

2. 조의금 액수 결정하기

조의금은 대체로 홀수 단위로 내는 것이 관례입니다. 예로부터 홀수가 길한 숫자로 여겨졌기 때문인데요, 특히 3만 원, 5만 원, 7만 원 등의 단위로 많이 냅니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10만 원 이상도 가능합니다. 단, 40만 원은 4라는 숫자가 불길한 의미를 담고 있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조의금 금액 예시

  • 5만 원: 보통의 직장 동료에게 적합한 금액
  • 10만 원: 직장 내에서 가까운 동료나 상사의 경우
  • 15만 원~20만 원: 특별히 친한 친구나 동료

일반적으로 직장 동료의 부친상이나 모친상에 참석할 때는 5만 원에서 10만 원이 적당한 금액으로 여겨집니다. 조부상이나 조모상의 경우, 특별히 가까운 관계가 아니라면 조의금을 내지 않기도 하지만, 필요하다고 느끼면 5만 원 정도가 적당합니다.

3. 조의금 전달 방법 및 계좌이체

장례식장에 도착하면 분향소 앞에 마련된 부의함에 조의금을 넣고 방명록을 작성한 후 상주에게 인사를 드립니다. 준비한 부의봉투는 봉투 입구를 접지 않는 것이 관행입니다. 이는 떠나는 길 노잣돈으로 쓰라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계좌이체로 조의금 전달하기

바쁜 일정으로 장례식장을 방문할 수 없는 경우, 계좌이체로 조의금을 전달하는 방법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상주의 계좌번호를 미리 확인한 후, 이체 시 “OOO 부의” 또는 “OOO 조의금” 등의 문구를 남기면 됩니다. 요즘은 코로나19로 인해 장례식에 참석하더라도 계좌이체로 조의금을 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4. 조의금 금액 선택 시 유의사항

주변 사람들이 내는 금액에 맞춰 조의금을 내기보다는, 자신의 경제적 상황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과한 금액을 내면 나중에 상대방에게도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금액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조의금은 단순한 돈의 가치가 아니라, 고인에 대한 예의와 배려를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부의봉투 작성법과 적절한 조의금 금액을 참고하여, 부담 없는 선에서 적절한 금액을 선택하고 진심 어린 마음을 전달하는 것이 좋습니다.